티스토리 뷰

라이프

초거대 AI의 잠재력

헥토콘 2022. 11. 11. 22:27
반응형

미래에셋증권 리포트중에서 AI관련 리포트가 있어서 정독 후 정리를 해본다.

© markusspiske, 출처 Unsplash

불과 수년 전 질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던 챗봇AI가 이제는 시도쓰고 소설도 쓰며 그림도 그린다.

이 같은 변화를 견인한 것은 기본적으로 AI를 훈련시키는 데이터의 양과 이를 처리하는 컴퓨팅파워가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오픈AI가 GPT-3라는 초거대 AI모델을 내 놓은 이후, AI의 성능이 지수함수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퓨샷러닝의 가능해지면서 기존 하나의 일만 가능했던 AI가 사전에 대량의 언어 데이터에 대해서 기본적을 이해 시킨 후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AI프로젝트에서 가장 많이 소요되는 사전 학습 데이터를 사람이 직접 라벨링하지 않고 자기지도학습 즉 모델이 스스로 예측하며 학습하는 방식을 채택해 대규모 언어 데이터를 학습 할수 있다.

 
현실 세계로 들어오는 AI

자율주행 : 자율주행의 난제는 주행 시 발생할 수 있는 흔치 않는 상황에 대한 대응이다.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 사전에 모두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불가능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데이터를 통해 AI가 스스로 규칙을 찾아내는 딥러닝 등의 기법이 도입되면서 자율주행 차량의 인지 및 판단 능력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그 선봉이 테슬라다.

로보틱스 : AI기술의 도입이 가장 기대되는 분야 중 하나이다. 현재는 공장에서 사용하는 로봇팔 등 제한적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AI기술력이 발전하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본결 발전 할것이다.(테슬라)

소프트웨어 : 적극적으로 AI를 상용화해 수익화하는 움직임이 보이기 시작했다.

1) AI를 인프라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벤더사, 2) 응용 솔루션 제공 기업

최근 가장 각광받는 사이버 보안 산업은 AI를 통한 패러다임 혁신으로 기업들이 가장 많이 투자하는 산업군으로 자리매김 했다.

 

인터넷플랫폼 : AI 경쟁력이 곧 플랫폼의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한다.

 

헬스케어 : AI가 연구단계에서 점차 임상현장으로 진입하고 있다. 가장 빠르게 AI가 도입되고 있는 영역은 Health IT다.

 

2022년 오늘의 AI가 할 수 있는 일

1) 복잡한 질문에 답하고 긴 글을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쓰다.

2) 생물학의 난제, 단백질 접힘 구조를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하다.

3) 말하는 대로 새로운 그림을 그려주다.

4) 반도체를 설계하다.

5) 사람 수준의 코딩을 하다.(구글-알파코드, 오픈AI-코덱스)

6) 게임 규칙을 알려주지 않아도 60개의 게임을 마스터하다.

AI 비약적인 성능 개선의 힘

1) AI의 학습 방법

2) 딥러닝과 데이터/연산 능력의 발전

3) 모델의 발전 : 병렬연산이 가능한 트랜스포머의 등장

4) 초거대 AI의 시작, GPT-3: 퓨샷러닝과 자기지도학습

5) 본격적인 규모 경쟁

20년 1,750억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한 GPT-3(오픈AI)

21년 5,300억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한 MT-NLG(마이크로소프트)

22년 5,400억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한 PaLM(구글)

앞으로의 AI : 가속화와 집중화

1) 시장 전망 : 지수함수적인 성능 개선 + 빠르게 하락하는 비용 -> 성장 가속화

2) 경쟁구도 : Winner takes most의 구도가 될 가능성이 높음

이후 자료는 각 산업별 AI에 대해서 설명되어 있으니 관심 분야는 리포트를 참고 하면 될듯 하다.

 

소프트웨어 산업 부분만 정래해 본다.

AI in 소프트웨어

AI와 직접 맞닿아 있는 소프트웨어 업계에서는 적극적으로 AI를 수익화하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AI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2018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 43%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2020 년에 가장 큰 폭으로 성장률이 커지면서 53.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가별 AI 침투율을 보면 중국, 인도가 앞서 있다.. 우리나라는 글로벌 평균에도 못 미치고 있다.

앞으로 국내 AI 발전 케파가 많다는것으로 긍정적으로 봐야 하나...

AI 시장을 주도하는 3대 클라우드 업체들

AI in 인터넷 플랫폼

1. 플랫폼 성장의 핵심으로 떠오른 AI

AI는 향후 온라인 플랫폼 경쟁의 핵심으로 부각될 것으로 AI 경쟁력이 곧 플랫폼의 성장으로 이어질 것 으로 판단한다.

이는 최근 인터넷 플랫폼 기업을 중심으로 파라미터를 확대시킨 초거대 (Hyperscale) AI에 주목하고 있 는 이유이다.

1) 검색: AI를 통해 결과물 향상 가능 → 검색 쿼리 및 효율 증대

2) SNS: AI를 통해 사용자 충성도 개선 → 사용 시간 증대

 

2. 경쟁을 넘어 플랫폼 성장에서도 AI는 핵심

AI를 통한 플랫폼 경쟁은 가까운 미래를 넘어 장기 성장 관점에서도 핵심이다.

 

새로운 주도 기업은 누가 될건인가?

3. 그러나 AI와 더불어 컨텐츠가 동반되어야 한다

1) 검색: 쇼핑 컨텐츠 통한 아마존의 구글 쇼핑 잠식

2) 소셜미디어: 틱톡의 컨텐츠 공급량 우위 지속

 

참고 리포트 링크

https://img.securities.miraeasset.com/ezrlink/report/154/20220922153738970_ko.pdf

 

반응형
댓글